|
John Garbutt, 『Essentials of Food Microbiology』, Arnold, 1997, pp.5-10
이갑상, 『미생물학 분자생물학사전』, 대학서림, 1997, p.521-522, p.876-877 1. 실험 목적 및 원리
2. 재료, 시약, 기구
3. 실험 방법
4. 결과
5. 고찰 및 이해
6. 참고문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8.06.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생물의 염색원리이다. 세포가 염색이 되는 원리는 음전하를 띄고 있는 세포에 양전하를 띄는 염색약을 가함으로 일어난다. 세포 내의 인산기가 음전하를 띄고 있기 때문에 세포 전체도 음전하를 띄게 된다. 염색약은 대부분 pH가 높은 염기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염색이 되진 않았지만 부분적으로 보라색을 띄는 것으로 보아 그램양성균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다른 조원들에 비해 미생물이 비교적 적었는데 이에 대한 원인은 배지에 미생물이 제대로 배양되자 않아 미세하게 보이는 colony를 채취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0.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Title : 미생물의 염색 및 관찰
Ⅱ. Date :
Ⅲ. Name :
Ⅳ. Purpose : 그람염색을 하는 원리를 파악하고 그람 양성과 음성 미생물을 구별할 수 있다.
Ⅴ. Material
Crystal violet, Iodine, Safranin, slide glass, 증류수, 비커, 알콜램프, 광학현미경, 95% EtOH, E.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3.21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있었다.
실제 우리 조에서는 같은 미생물을 염색하여 관찰했지만 서로 다른 색깔이 관찰되어 염색이나 세척 둘 중 한 가지가 잘못 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그만큼 세척과 각 단계별 염색의 시간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