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동협음통석
-<화동정음통석운고>에 빠진 글자를 채우고 우리나라 음과 중국음의 차이를 밝히고 있다.
박성원의 저술을 그가 죽은 후에 그의 아들 박치영이 쓰고 안우의 발문을 붙여 1788(정조 12)에 간행하려고 하였으나 출판되지 못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6.05.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박성원의 화동정음통석운고, 홍계희의 삼운성휘,황윤석, 정동유 등이 있다.
Ⅲ. 결론
위에서 서양과 한국의 음운학자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지금 우리나라는 음운학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 우리가 받아들이고 있는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화동정음통석운고』(1747), ②『삼운성휘』(1751), ③『규장전운』(1796), ④『전운옥편』(1796?) 등의 운서에서는 설두음계는 //을 유지한 반면, 설상음계는 모두 //으로 표음하였다. 성모의 종류에 따라 한 예씩만 예시하면 『자회』음과 후기 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화동 출판사, 1994.
전규태, <고려가요>, 정음사, 1978.
전규태, <고려가요의 연구>, 백문사, 1993.
최용수, <고려가요연구>, 계명문화사, 1996. 1. <사모곡>에 대한 개관
2. 원문해석 및 어휘풀이
3. 사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9.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화동정운통석운고(華東正韻通釋韻考)(1747), 홍계희(洪啓禧)의 삼운성휘(三韻聲彙)
(1751), 정조 명찬(命撰)의 규장전운(奎章全韻)(1796) 등의 운서(韻書)와 최석정(崔錫鼎)의 경세정운(經世正
韻)(1678), 신경준(申景濬)의 훈민정음운해(訓民正音韻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