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 확실한 실험이 될 수 있었을 것이다.
8. 참고 문헌
『화학공학기초실험』,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조성일 김덕찬 이도원 정철수 공저, 2007 1. 목적
2. 이론
3. 기구 및 시약
4. 방법
5. 실험 결과
6. 실험 고찰
7. 참고 문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3.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박층) 실험논의
(1) 물음1. 전개제의 증발을 막아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여라.
전개제가 증발해서 마르게 되면 TLC판위에서 다 전개못하고 증발해 버릴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시료가 전개한 거리에 따라 물질이 무엇이고, 정확한 R값을 측정 할 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박층크로마토그래피(薄層-, thin-layer chromatography) : TLC
Ⅲ. REAGENT AND APPARATUS
1. REAGENT
가. 시료물질
1) 살리실산[salicylic acid]
2)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3) 니트로아닐린[nitroaniline]
나. 전개액
1) 핵산[核酸, nucleic acid]
2) 아세트산에틸[ethyl acet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2.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적 한계를 지닌다. 두 번째로 시료를 찍을 때 모세관을 이용해 작게 찍어야 하는데 시료가 크게 찍혔을 경우 같은 물질임에도 불구하고 결과가 약간씩 다르게 나올 수 있다. 예를 들어실험 4의 사진을 보면, 시료 B와 Naphtalene은 같은 물질이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박층 위에 점적한다. 조제(시료의 분리정제)의 목적에는 두께 1∼2㎜를 사용하여 많은 양 (5∼200㎎ 정도)을 점적할 수도 있다.
점적을 하는 위치는 TLC plate의 하단으로부터 약 3㎝, 용매면으로부터 약 2㎝ 떨어지도록 한다. Spot의 직경은 될 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