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된다. 이들 중 좌심방이나 좌심실로 되돌아오는 것이 있는데 이들은 산소화되지 않은 정맥혈이 곧바로 동맥혈로 유입되는 것이므로 동정맥션트(arterio-venous shunt)의 효과를 나타낸다. 심실근에 대한 혈액공급은 심실근이 수축할 경우에는 혈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두근은 매우 크고 힘줄끈은 방실판막에 붙어있어 우심실의 힘줄끈 보다
더 두껍고 강하다.
혈액흐름: 반달판막-> 대동맥으로 들어온다.
반달판막을 대동맥판막이라하고 폐동맥판막보다 더 두껍고 강하다.
심장판막의 역할
1) 방실판막-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동맥)을 통하여 좌심실을 떠난다. 상행대동맥의 저부에 위치한 대동맥판은 좌심실이 이완하였을 때 혈압에 의하여 닫혀서 이완된 심실로의 역류를 방지한다.
[관상동맥의 순환, 정맥 배출을 앞에서 본 모습.]
◎), 순환경로
혈액순환은 폐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1.05.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폐동맥간) pulmonary trunk는 오른심실에서 나오는 혈관이며, 심장에서 나온 후 왼오른허파동맥 pulmonary artery으로 갈라져서 CO₂가 함유된 정맥성혈액을 허파로 운반한다.
허파동맥줄기(폐동맥간)를 통과하는 혈류를 조절해 주는 허파동맥판막 pulm
|
- 페이지 3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6.09.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두근(乳頭筋)이라 한다. 유두근 끝에는 이첨판이나 삼첨판의 끝부분이 뻗어나온 건삭(腱索)이 붙어 있다. 심방이나 심실 내면은 심내막이라 하며, 한 겹의 엷은 막으로 덮여 있다. 1. 심장기능부전(심부전)이란?
2. 심장기능부전(심부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