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0975.72J/㏖)
≒ 101633.2J/㏖
(6)고찰
이 실험은 엔탈피 즉, 열 함량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H1을 측정하고 △H2와 △H3을 측정하여 엔탈피를 비교해 보았다. 여기서 잠시 생각해야 할 것은 방출된 열량이라 하면 Q값이 음수이어야 하는데, 알다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5.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열량을 받아서 를 방출하며, 인 열(열에너지)를 기계적에너지로 전환하기에 이것을 열기관 사이클(heat engine cycle)이라 한다.
(2) 열기관(heat engine)의 열효율 :
여기서
: 열공급에서 생기는 열상당량
: 열기관에서 공급열량
: 저열원 혹은 방출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출하기 위해 냉각시키고, 또 냉매는 연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액화시키는 일종의 열교환기이다. 그리고 냉각과 응축을 위해서는 보다 낮은 온도의 물을 필요로 한다. 응축기의 용량은 방출하는 열량에 의해 결정된다. 응축기 형식은 Shel
|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는 이번 실험에서 헤스의 법칙을 확인하기 위해 수산화나트륨과 염산의 반응을 이용해 이를 검증했다. 그리고 반응에서 방출된 열량은 열량계에서 흡수된 열의 양과 같다는 사실을 이용해 반응의 열량을 구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 실험A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3.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열량계 속에 남아있는 fuse wire의 길이를 재어야 하는데 우리조의 실험에선 fuse wire도 모두 연소하여 남은 게 없었다.
열량계에서 T는 반응에서 열로서 방출되거나 흡수되는 에너지와 비례한다. 이것을 통하여 qv를 구하고 V를 구할 수 있다.
7.결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