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夏枯草
하고초
(燒灰,入紅豆洗。)
하고초는 태운 재를 홍두를 넣고 얼굴을 씻는다.
續隨子莖汁
속수자 줄기즙
(洗,剝人皮。)
속수자경즙은 기미를 씻으며 사람피부를 벗겨낸다.
藜 苦參 白 零陵香 茅香
질려, 고삼, 백급, 영릉향, 모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7.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출백복령청반하진피 백강잠우담남성), 甘草(감초)
⑤ 氣滯血瘀(기체혈어)
- 黃赤風湯(황기적풍탕)
黃(황기), 赤芍藥防風(적작약·방풍)
<Reference>
1. 김덕곤 편저. 동의간질학. 1998. 서원당
2. 김남일. 한권으로 읽는 동의보감. 1999. 들녘
3.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4.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출백복령청반하진피 백강잠우담남성), 甘草(감초)
⑤ 氣滯血瘀(기체혈어)
- 黃赤風湯(황기적풍탕)
黃(황기), 赤芍藥防風(적작약·방풍)
<Reference>
1. 김덕곤 편저. 동의간질학. 1998. 서원당
2. 김남일. 한권으로 읽는 동의보감. 1999. 들녘
3.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9.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巴豆。)
상사자는 모란, 패모, 파두와 상오한다.
藁本
(惡藺茹。畏靑子。)
고본은 인여와 상오한다. 고본은 청상자와 상외한다.
白芷
(當歸爲之使。惡 旋覆花。製 雄黃、硫黃。)
백지는 당귀와 상사가 된다. 백지는 선복화와 상오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출 8g, 감초 4g과 생강을 달여 복용하니 곧 방기황기탕이다.
但汗多者는, 用此等分이라.
단한다자는 용차등분이라.
다만 땀이 많으면 이것 같은 분량을 사용한다.
附防附朮은 柔而厥者에 宜라.
부방부출은 치유이궐자에 의라.
부자방풍탕과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