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37건

백자의 제작기술을 다섯 부분으로 걸쳐 살펴보았다. 첫째, 태토는 전국에 걸친 試燔 끝에 진주, 양구, 과천토 등이 우수한 원료로 기록되었고, 정제 방법은 水飛孔을 이용했을 확률도 있으며, 물리화학적 성질은 철분이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백자상감(白瓷象嵌)은 순백의 순도 높은 태토의 기면에 분양을 새기고 자토를 메워 넣고 그 위에 백자유약을 시유하여 번조하면 문양이 검은 색으로 나타난다. 백자상감은 고려의 상감기법을 이어받은 것으로 질에 따라서 두 종류로 구분된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백자태토로 그릇을 만들고 그릇 표면 전면에 철분을 바른 다음 그 위에 다시 백자 유약을 입혀 구워낸 것이며, 철유자기는 백자태토로 그릇을 만들고 그 위에 산화철분이 15% 이상 함유된 유약을 입혀 구워낸다. 철채의 경우는 표면이 쇠녹색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백자는 근본인 태토(도자기 만드는 흙)가 점토가 아니었고, 자토계이며 대부분 하얀색이라 백토라 부르기도 한다. 백토로 빚은 도자기는 굽바닥의 때깔이 하얗다. 이것이 바로 백자다. 그런데 백자의 표면에 안료로 칠을 하여 하얗게 보이지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0.0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백자보다 더 푸르름이 깃들여 있고 태토도 순백이다. 또한 장식적인 문양이나 투각된 문양이 있는 것이 많아졌다. 이는 단아하고 얌전한 느낌을 넘어서 뚫어진 사이로 맑고 깨끗하며 아주 힘차고 생동감 있는 표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시기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9.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