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을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6.25 당시 피난민들이 이곳 산지마을에 모여 살았고 또한 이농 및 사업 실패자들이 유입되면서 지금의 안창마을이 형성되었다. 안창마을을 가로질러 흐르는 호계천을 중심으로 동구 범일6동, 진구 범천2동으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을 곳곳 철책 설치
▶ 대부분 무허가 건물
▶ 오리고기유명
▶ 집이 붙어 있음
▶ 동구 범일6동+ 진구 범천2동
▶ 산으로 둘러 쌓여 있어 공기 맑음
▶ 주거상황->전세,사글세
(월세 거의 없음 )
▶ 집주인->타지거주,마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200원
- 등록일 2010.02.1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을에 대한 동구의 흡수 통합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부산의 대표적인 한국전쟁 피난민 정착지 중 한곳인 안창마을은 마을 중앙의 소하천을 경계로 동구 범일6동과 부산진구 범천2동으로 양분돼 있다.
현재 안창마을은 무허가 건물과 영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을은 일대가 모두 절터였다고 하는데, 마을사람들의 구술말고는 절의 흔적을 찾을 수 없다. 다만 마을 안에 삼층석탑이 하나 있어 절이 있었으리라 추정할 뿐이다. 높이 4.6m인 효자리 삼층석탑은 지표면보다 낮은 곳에 움푹 들어가 있는데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흥리 마애삼존불과 암각화
2. 흑석사(黑石寺)
3. 신암리 마애불
4. 달실마을[酉谷里]
5. 북지리 마애불
6. 축서사(鷲棲寺)
7. 부석사
|
- 페이지 6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