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의 응력-변형율 선도
A~B 탄성변화구간
C~E 항복구간
E~F 변형경화구간
F~G 네킹구간
B 비례한도
C 상항복점 = 탄성한도
D 하항복점 = 항복응력, 항복강도
F 극한응력 = 극한강도
G` 진응력 = P/줄어든단면적
G 공칭응력 = P/최초단면적
① AB : 탄성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1.0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작되는 지점, 혹은 탄성변형이 끝나는 지점의 Stress의 크기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때문에 이때의 Stress의 크기를 Yield Strength, 항복강도, 탄성한계 강도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마지막으로 소재에 일정 이상의 응력이 가해지면 소재는 완전히 끊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0.10.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조, 압연, 압출, 프레스, 신선, 판금, 전조 등이 있다.
Ⅲ 결론
재료에 하중을 가하면 응력이 생기고, 변형량과 같이 사용하여 선을 그린 것이 응력-변형률 선도 이다. 응력-변형률 선도에는 여러 점들이 있는데 사용응력, 허용응력, 탄성한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0.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나타나는 경우 일반적으로 0.2%의 영구변형률이 발생되는 응력을 항복점으로 하고 있다. 압축의 경우에도 인장의 경우와 거의 같은 응력-변형률 선도를 얻을 수있다.
결론
우리 주변에 많은 구조물들이 어떻게 설계가 되고 또한 그 구조물 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8.10.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례한도와 매우 근접해 있어서 탄성한도의 위치를 찾기 어려우므로 보통 비례한도와 같다고도 본다
㉯. 항복
탄성한도를 넘어서 응력을 더 증가시키면 재료는 이에 견디지 못하고 영구적으로 변형하게된다. 이러한 거동을 항복이라고 한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1.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