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헛기침과 해수가 오래도록 그치지 않거나 또는 기침을 할 때 피가 섞이는 증상에 응용
만성병을 앓은 후 허약하여 회복이 느리고 식은땀을 흘리면서 찬 것을 꺼리는 증상
@용안육
-무환자나무과의 용안의 과육
-맛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약(補益藥)
9. 이기약(理氣藥)
10. 소식약(消食藥)
11. 활혈거어약(活血祛瘀藥)[(이혈약(利血藥)]
12. 화담지해평천약(化痰止咳平喘藥)
13. 안신진경약(安神鎭驚藥)
Ⅵ. 보기약
1. 감초
2. 대추(大棗)
3. 백출
4. 백편두
5. 산약(산약)
6. 인삼(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삼은 심에 들어가 허함을 보익하고 심이 편안하면 진액이 거두어진다.
四逆湯者,回陽以復陰,陽倡 倡(여광대, 기생, 번창하다 창; 人-총10획; chang,cang,cang)
則陰隨也.
사역탕은 양을 회생하여 음을 회복함이니 양이 창성하면 음이 따른다.&nb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약을 채취할 때는 아래 바닥이 좋고, 오래될 수록 잘 변화할 수 있다.
采石膏于其上頭者,狀如米 (가루떡 고; 米-총16획; gao)
。
위 머리에서 석고를 채취하면 쌀 가루떡과 모양이 같다.
于其下底者,瑩淨如水精,此其上品也。
아래 바닥은 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익은 없으나 잠깐음식물체기를 베풀어서 기가 심한 손상을 받지 않게 하니 어찌 불가하리오?
但不宜視爲通行之藥爾니라
다만 통행하는 약으로 여겨서는 안된다.
且所滯之物이 非枳朮丸之力의 所能去者는 亦安可泥於消導而弗之變乎리오?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6.03.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