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탕과 함께 먹으면 오래된 이질과 설사를 멎게 한다.
燒酒
소주
(寒濕泄。)
소주는 한습설사를 치료한다.
黃米粉 乾 (보릿가루 초; 麥-총15획; chao)
乾 (떡, 경단 고; 食-총19획; gao)
황색쌀가루 건조한 보릿가루, 건조한 떡
(止老人久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토가 그치지 못함을 주치한다.
訶黎勒
가려륵
(止嘔吐不食,消痰下氣,炒硏糊丸服。)
가려륵은 구토로 먹지 못함을 멎게 하고 담을 소멸하고 기를 내리며 볶아서 갈아서 풀로 환을 만들어 복용한다. 蟲獸
허한
초부 곡채 과목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독의 설사 이질에 웅황을 환으로 복용한다.
滑石활석
〔獸部〕들짐승 부분
猪膽돼지담
(入白通湯,止少陰下利。)
돼지담은 백통탕에 넣으면 소음병 하리를 멎게 한다. 金石 기부 금부 인부
설사 습열
초부 곡채 목석 수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8.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곽란과 번갈을 치료하니 황련, 오두와 함께 달여 마신다.
高良薑
고량강
(溫中消食下氣。亂腹痛,炙香煮酒。或水煎冷服。)
고량강은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음식을 소화케 하고 기를 내린다. 곽란 복 곽란寒濕 초부곡채 과목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또한 해역이라고 부르나 고대 해수로 숨이 급한 해역과 같지 않다.
朱肱以爲咳逆,王履以咳嗽爲咳逆,皆非也.)
주굉은 얼을 해역이라고 여기고 왕리는 해수를 해역이라고 여기니 모두 잘못이다. 虛寒
초부 과부 목석 린수
애역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