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소열(J)
-52
-43
벤조산 연소열(kJ)
-24.64
질산생성열(kJ)
0.00
0.00
총 발생열(kJ)
-23.62
열용량(kJ/℃)
5.61
5.95
나프탈렌 열량계의 총 연소열(kJ)
-29.6
나프탈렌 연소열(kJ)
-29.6
단위질량당 연소열(kJ/g)
-30.65
⑷ 계산과정
· 퓨즈 연소열 :
벤조산 → 0.0089g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0.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소열을 구해야 하는데 벤조산 하나만 실험을 해서 다른 시료들과의 연소열을 비교해 볼 수 없었다. 나프탈렌이나 염산 등의 시료를 더 사용해서 연소열을 더 측정해야 하고 측정오차를 최대한 줄이기위해서 같은 시료를 적어도 2번은 반복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8.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그런 실험조건이 되지 않아 우리는 시료 용지에 싸서 이 시료지까지 연소시켰다. 여기서 시료의 연소열 외에 시료지의 연소열까지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을 보정하기 위해 시료지만의 연소열을 구해보았지만 워낙 작은 양이라 실험에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7.08.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및 과정
① 1g보다 적은 양의 벤조산으로 펠릿 압축기를 이용하여 펠릿을 만든다.
(펠릿을 만들면 연소 시 물질이 흩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② 크롬선(퓨즈선)을 잘라 전자저울에 무게를 측정한다.
③ 통(bomb)에 물을 소량 넣는다.
④ 시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1400cal/g = 23.8cal
③ 봄베열량계의 열용량 : 1516.456cal/℃
④ 시료의 연소열
총 열량 = 온도 상승량 * 열량계의 열용량 - 점화선의 연소에 의하여 생긴 열량
= 6.6℃ *×1516.456cal/℃ - 23.8cal = 10008.609cal - 23.8cal = 9984.809cal
시료의 연소열 = 총 열량 / 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