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사 개론》.서울: 범호사, 1995
4. 노태욱. 《부동산 개발론》. 부연사, 2002.
5. 정광영. 《부동산엔 정가가 없다》. 갑진 출판사, 1996. 1. 부동산 자산관리의 특성과 과제
Ⅰ. 부동산 자산관리의 의의
Ⅱ. 미국 부동산 자산관리의 발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동사형 어미 ‘아/어’ 아래에 붙어 진행형 어간을 형성한다. 중세어의 ‘자밤’, ‘나’ 등은 이 진행형 어간이 부사화한 것이다.
향가에서는 부동사형 어미 ‘오/우’가 ‘아/어’나 마찬가지로 연결어미로 쓰인 것이 보인다(예 : 高好).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동사(연결어미 또는 부동사 어미를 가진 동사)를 사용하여 연결의 기능을 한다. 인구어에서 두 동사는 보통 접속사로 연결되지만 국어와 알타이 제어에서는 선행동사가 부동사형을 취한다.
3) 특성
(1) 음운특징
국어의 자음 체계는 ‘ㅂ, ㅃ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동사(연결어미 또는 부동사 어미를 가진 동사)를 사용하여 연결의 기능을 한다. 인구어에서 두 동사는 보통 접속사로 연결되지만 국어와 알타이 제어에서는 선행동사가 부동사형을 취한다.
3) 특성
(1) 음운특징
국어의 자음 체계는 ‘ㅂ, ㅃ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5.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동사 어미 ‘-아/어’와 동사 어간 ‘잇-’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중세어의 현재 시상 선어말 어미와 정동사 어미 ‘-다’의 결합인 ‘ 다’는 근대어에서 모음으로 끝난 어간 뒤에서는 ‘-ㄴ다’로, 자음으로 끝난 어간 뒤에서는 ‘-는다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