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수도법에 의하여 하수처리시설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경우에는 방류수의 수질기준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다.
구분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BOD)
(㎎/ℓ)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
(㎎/ℓ)
부유
물질량
SS
(㎎/ℓ)
기타
(㎎/ℓ)
하수종말처리시설
20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9.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휘발성 부유물질) Volatile Suspended Solids SS - FSS
VDS (휘발성 용존물질) Volatile Dissolved Solids DS - FDS
VS (휘발성 고형물) Volatile Solids VSS + VDS
FS (강열잔류 고형물) Fixed Solids FSS + FDS 1. 폐수의 특성
2. 고형물(SOLID)
3. 하수처리
4. 수질기준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9.12.0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료량 : 1000ml
-총부유물질의 양(TSS) :
7. 고찰
부유물질은 수중에 입자상으로 현탁되어 있는 고형물을 말하며 부유물질 측정시험은 오염폐수분석에 있어서 중요한 항목 중의 하나로서 하수와 폐수의 오염도를 검토하는데 쓰이는 중요한 지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화기술)
환경공학개론(동화기술) 1. 제목 : 총 부유물질(TSS)과 휘발성 부유물질(VSS)
2. 이론
2.1 목적 및 의의
2.2 측정원리
3. 실험방법
3.1 기구
3.2 시험조작
3.3 주의 사항
4. 순서도
5. 결 과
6. 토 의
7. 참고문헌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물질의 양이 적게 나왔는데 아마도 실험전에 시료를 충분이 흔들고 나서 실험을 했었어야는데 잠깐 흔들고 실험을 해서 다른 membrane보다 너 낮은 부유물질이 들어갔던 것 같다.
실험을 하면서 처음에는 하수를 그대로 사용 하였었는데 부유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