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처님이다.
서있는 모습중에는 \'천지인(天地印)\'이 있다. 석가가 태어나자마자 한손으로 하늘을, 한손으로 땅을 가리키며 \'천상천하유아독존\'이라 했다는 모습을 본뜬 것. 그 외에 아미타불임을 나타내는 \'아미타정인(定印)\'-두손 엄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손모양을 취한다. 때때로 미륵불(彌勒佛)이 이러한 자세로 표현되기도 한다.
5) 반가좌(半跏坐)
쉬고 있는 자세이다. 오른쪽 다리를 내려뜨리고 그 위에 왼쪽 다리를 올려 놓는다. 부처님에게는 적용되지 않고 보살(菩薩)이나 일반 성중(聖衆)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손 가는대로 편안하게 내려놓은 것 같지만 사실은 의미가 남다르다. 이 손모양은 석가모니부처님께서 득도할 때 취했던 자세로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으로 불린다. 배꼽 아래 두 손바닥을 겹쳐놓고 양 엄지를 마주 대는 형식의 ‘선정인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1.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양의 골조를 만들고 그 위에 삼베 같은 천이 섞인 진흙을 빚어 불상을 만든 후 그 위에 고운 흙을 바르고, 다시 베 같은 것에다 황금으로 도금하는 것이다.
塼像도 있는데 흙으로 빚은 후 이것을 불에 구워낸 것으로 이 역시 상당히 많이 만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손가락과 약손가락에 얹고, 긴 손가락과 집게손가락도 역시 서로 교차하는 것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7. 합장인
손바닥을 합하여 마음이 한결같음을 나타내는 인도인의 인사법과 유사한데, 보통은 두 손바닥과 열 손가락을 합하는 모양이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