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체제론을 중심으로-」『한국고대사연구』17, 서경문화사, 2000
여호규, 「고구려 초기 나부통치체제의 성립과 운영」『한국사론』27, 서울대 국사학과, 1992
이기백, 『신라정치사회사연구』, 일조각, 1974
이종욱, 「신라 ‘부체제설’에 대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체제론을 중심으로-」
『韓國古代史硏究』17. 한국고대사학회
이한상. 1995 5~6世紀 신라의 변경지배방식-장신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론』33.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논 문》김광명. 2001.「대구, 경산지역 지석묘 연구」 영남대학교 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7.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립
2. 부체제의 유형
3. 각부의 독자성
4. 고구려 초기의 부체제 성립
5. 신라 초기의 부체제 성립
6. 백제 초기의 부체제 성립
7. 회의체제
8. 영일냉수리비(눌지왕 27년(443) or 지증왕 3년(503))
9. 울진봉평비(법흥왕 11년(524))
마무리하며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10.0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 중 가장 강력한 부의 장(長)이었다는 부체제론자들의 주장이 옳지 않음이 ‘「삼국사기」 파사이사금 23년조’에서 보여준다. 또한 6부가 자치력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이를 단순히 왕경의 행정구역으로 보는 견해도 전적으로 옳은 것은 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판적 재검토」/ 역사학회/ 배형일/ 2001 국가의 형성
1.국가 형성 이론
1.1 부족국가론
1.2 성읍국가론
1.3 Chiefdom론
1.4 부체제론
2. 고대 국가의 형성과정
2.1 청동기시대와 고조선
2.2 철기시대와 삼국의 국가형성
3. 맺는말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