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경을 점령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이그나티에브는 이 기회를 최대한 이용하였다. 그는 북경과 상해를 오갈 수 있는 이점을 이용하여 청국 측 교섭책임자 공친왕에게 자신이 중재에 나서 북경의 안전을 책임질 테니 그 대신 연해주를 양도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경 및 직예 전역과 동북지방을 거의 장악했으며 그 밖의 지역은 여전히 열강 각 국의 세력범위로 쪼개져 있었다.
- 더욱이 북경과 천진에서는 점령관리기구를 설치하여 통치권을 행사하였으며 사실상 영국 · 독일 · 러시아 등은 '과분'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5.05.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경점령 후 명말에 부가됐던 삼향 임시부가세인 요향(遼餉), 소향, 련향(練餉)을 말한다. 요향은 만주족에 대한 토벌과 방위를 위해 만력 46년에 최초로 도입되었고, 소향은 명말 각지에서 빈발했던 반란과 폭동에 대한 진압비용의 염출을 위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경점령은 청 정부의 최고권력자들에게 직접적으로 서양의 실체를 인식시키게 되었으며 적극적 대응책을 찾지 않을 수 없었다. 중국과 서양의 직접적인 교섭은 크게 몽골제국의 유럽원정, 명말청초(明末淸初) 서양 선교사의 활동, 아편전쟁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4.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경점령 소식을 전해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청국의 기술만이 문명의 그것이라고 인식하는 것 같다. 심지어 간간히 무기를 구입하기도 했던 일본이 개국하자 강경한 배일정책을 취하게 된다. 앞의 책, 291
이와 같은 상황에서 조선이 습득 가능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