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언어규범은 1966년 다시 전환(轉煥)의 고비를 맞는다. 김일성은 1964년 1월3일 언어학자들과 간담회 자리에서 “조선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몇 가지 문제”란 제목으로 교시(敎示)를 베푼 바 있다. 그는 전부터 표방해오던 어휘발전의 방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 언어에 대한 관심과 이해관계가 생길 때 통일로 가는 큼 걸음이 아닐까 한다.
참고문헌
* 고영근 외 12인, 「북한의 말과 글」, 서울:을유문화사, 1989
* 정영자 『남·북한의 언어규범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학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3.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 외래어의 표기와 사용 실태.
3.4. 문체
북한의 국어 교육에서 말과 글은 쇠소리가 나야 하고 된바람을 일으켜야 한다고 가르친다. 또한 군중이 알 수 있는 쉬운 말을 써야 하며 규범에 맞게 쓰도록 언어 교양을 하고 있다. 글을 짧고 쉽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언어관, 언어정책(방향은 같지만 세부 조항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의 차이는 훗날 통일한국에서의 큰 어려움으로 다가올 것이다. 사전에 남북한의 언어 규범을 통일할 수 있는 범민족적 기구를 만드는 것에 정부는 물론, 민간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7.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것을 바탕으로 언어생활이 이루어졌으므로, 분단 초기에는 남북한 언어규범상의 차이는 없었다. (이 통일안은 지금까지도 남북한 모두에서 언어생활언어정책의 기본이 되고 있다.) 만약 <한글맞춤법통일안>이 제정되지 못한 상태에서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