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이쓸개관(imterlobular bile duct); simple columnar
2. 간밖쓸개관(extrahepatic bile duct)
(5) 좌우간관(left and right hepatic ducts);
(6) 온간관(common hepatic duct)
(7) 주머니관(cystic duct)
(8) 온쓸개관(common bile duct)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점막고유판(lamina propria)
GC: 술잔세포(goblet cell)
직장에서도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을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다.
직장 점막층(tunica mucosa)에는 장샘(리베르퀸움 crypt of Lieberkhn)이 있으며 장샘의 길이는 결장(colon)보다도 더 길다. 상피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점막층 tunica mucosa)의 손상을 막아준다. 대장에서는 소화효소가 분비되지 않으며 대장 내 박테리아에 의한 일부 물질의 분해산물이 흡수되기도 한다.
대장은 소장과는 달리 돌림주름(plica circularis)과 장융모(intestinal villi)가 없다. 장샘(intestinal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09.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샘의 수가 적고 그 길이가 더 짧으며 결장띠도 존재하지 않는다.
3. 참고
1) 고정식 외 9인, 2001, 조직학 아틀라스, 고려의학, p.187
2) Luiz Carlos JUNQUEIRA, Jose CARNEIRO 저/ 박경아 외 3인 역, 2004, 기초 조직학, 군자 출판사, p.349 ~ p.388 1. 서론
2. 본론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6.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점막고유판(lamina propria)
GC: 술잔세포(goblet cell)
직장에서도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을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다.
직장 점막층(tunica mucosa)에는 장샘(리베르퀸움 crypt of Lieberkhn)이 있으며 장샘의 길이는 결장(colon)보다도 더 길다. 상피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1.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