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용매(純溶媒)의 어는점과 용매 100g에 용질 Wg을 녹인 용액의 어는점과의 차(어는점내림)를 ΔT라고 하면, 용액의 분자량 M은 M=kW/ΔT 라는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k는 용매에 특유한 상수로서 그 용매의 몰어는점내림이라고 한다.
몰어는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14.0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록 측정이 쉬워지고 정확하게 된다. 따라서, 큰 K 값을 갖는 용매를 택하는 것이 좋다.
K =
윗 식은 MT가 커질수록 K가 커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T가 보통 M이 클수록 커지므로, K는 용매의 물질량이 커질수록 급격하게 증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G로 넣는다. D내에 들어 있는 benzene 10g 에 대해서 나프탈렌 0.1g 정도의 비중이 좋다.
⑧ 나프탈렌이 완전히 녹은 다음 벤젠의 응고점을 측정했을 때와 같은 방법으로 그 용액의 응고점을 측정하여 응고점강하를 구한다. 이때의 그래프는 수평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매에 녹지 않으므로 고체상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빙점강하(depression of freezing point),
비휘발성 고체의 理想 용해도(ideal solubility of solid)
순수 Solid phase = liquid phase
(1성분 : 용매 ) 평형 (ideal solution)
: 순수 1성분 solid → liq. 전이시 잠열 ( entha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매에 녹으면 용액 위의 증기압은 보통 감소하게 되는데 이상용액에서 이 증기압 강하는 용액내의 용질의 농도(특히 몰분율)에 비례한다. 또 이러한 증기압 강하 때문에 용액의 끓는점(또는 어는점)은 순수한 용매의 끓는점(또는 어는점)보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