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황, 정력과 함께 환으로 복용한다.
樓
과루
(胸痺痰結,痛徹心背,滿喘咳,取子丸服,或同白煎酒服。)
과루는 흉비와 담결로 동통이 심장과 등까지 관통하고 속 답답함과 그득함 숨참, 기침에는 과루인으로 환을 만들어 복용하거나 혹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협은 복부창만을 주치한다. 가슴과 복부가 창만함에 조협을 구워 갈아 환으로 복용하여 하리를 하면 매우 신묘하다.
枳實
지실
(消食破積,去胃中濕熱。)
지실은 음식을 소화케 하고 적을 깨니 위 속의 습열을 제거한다.
枳殼
지각
(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7.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황 사간 도화
(宿水痰飮積滯,爲末水服,或作餠食,取利。)
대황, 사간, 도화는 숙수담음적체를 치료하니 가루내어 물로 복용하거나 혹은 떡을 만들어 먹으니 하리하게 한다.
接骨木
접골목
(下水飮。)
접골목은 수음을 내리게 한다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花 甘遂
요화 감수
(梅核氣,同木香末服。)
요화와 감수는 매핵기에 목향가루와 함께 복용한다.
大黃
대황
(食已卽吐,大便結,同甘草煎服。)
대황은 음식먹길 그치면 곧 토하고 대변이 비결됨에 감초와 함게 달여 복용한다.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未淨하여, 腹滿或疼하고, 便硬不通하면, 量加大黃이니라.
숙분이 미정하여 복만혹동하고 변경불통하면 량가대황이니라.
숙변이 아직 깨끗하지 않아서 복부가 그득하고 혹은 아프며 대변이 단단하여 불통하면 헤아려 대황을 가미한다.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