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건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 회복 위원회,『제주 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2003, p.536
” 즉 ‘국가 공권력에 의한 인권유린’으로 규정했다.
제주4·3항쟁의 기간 동안 민간인 25,000~30,000여 명으로 추정되는 엄청난 인명피해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08.1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태 때 형무소에 갔다 왔기 때문에 희생자가 아니라고 한다’는 80줄에 들어선 촌로의 한숨 섞인 말에서는 체념이 묻어나오고 있다.
대통령은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하 제주43특별법)을 공포했다. 이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주도는 급속히 피바다 속으로 잠기어갔다.
3. 제주43사건 피해실태 분석
- 일가족 피해로 신고 유족 부재 , 출생신고도 되지 않은 영아의 희생 등으로 정확한 사상자 수치화가 힘듬
- 가해별 통계
토벌대 78.1%(10,955명),
무장대 12.6%(1,764명),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22.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가폭력사건인 제주43은 50년동안 한국 국민들에게도 잘 알려지지 않은 채, ‘없었던 역사’로 덮어져 왔던 것이다.
참고문헌
김창후 - 4·3진상조사보고서 작성과 미국 자료, 제주4.3연구소, 2002
김순태 - \'제주4·3사건 위원회\'의 활동과 평가,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피해가 많았던 ‘북촌사건’도 2연대에 의해 자행되었다.
1949년 3월 제주도지구전투사령부가 설치되면서 진압·선무 병용작전이 전개되었다. 신임 유재흥 사령관은 한라산에 피신해 있던 사람들이 귀순하면 모두 용서하겠다는 사면정책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900원
- 등록일 2019.08.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