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단칠정론이란?
2.사단칠정론의 기원
3.사단칠정론의 시대적 배경
4.사단칠정 논변의 발단
5.사단칠정논변의 전개
6.퇴계의 사단칠정론 해석
7.퇴계의 사단칠정론 해석에 고봉이 반대하는 이유
8.논변의 최후: 휴전인가? 타협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3.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위한 선언문
▷ Chang Carsun, 이진표 옮김(1997), 신유학 사상의 전개 II, 서울 : 형설출판사 Ⅰ. 유학사상의 의미
Ⅱ. 탈주자학적 유학사상
Ⅲ. 신라시대의 유학사상
Ⅳ. 고려시대의 유학사상
Ⅴ. 조선시대의 유학사상
참고문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개하였다. 이황은 이기론에 있어서는 기뿐만 아니라 이도 발한다는 이기호발설을 견지하여 ?이발이기수지 기발이이승지(理發而氣隨之氣發而理乘之)?를 주장하였는데, 이러한 견해는 사단칠정론에도 그대로 이어져 순선(純善)인 사단(四端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7.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논변(1559~1566)을 전개하게 되었다.
⑵ 주자서절요(1556)
주자대전에서 41권에 달하는 편지 가운데 학문과 생활에 중요한 내용을 뽑아서 14권 7책으로 편찬한 것으로, 그는 이 주자의 편지에서 인격적 만남을 통하여 도학의 학문세계와 학문 방법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개함은 물론, 기질지성(氣質之性)과 본연지성(本然之性), 사단(四端), 칠정(七情)에 연관시켜 정밀하게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이이는 만인평등의 인간관을 바탕으로 정치의 주체를 백성으로 규정하였고 그를 바탕으로 정치 이론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7.0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