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걸어두고 썼다고 한다.
불국사의 운판
4. 목어 : 목어는 나무로 긴 물고기를 만들고 배부분을 파서 그곳을 두드려 소리를 내는것이다. 목어를 두드리는 소리는 물 속의 물고기를 가르친다고 한다. 1. 범종
2. 법고
3. 운판
4. 목어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8.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물놀이
풍물굿에 있어서 사물이란 쇠, 징, 장구, 북을 가리키는 것으로 불교에서의 사물(범종, 운판, 법고, 목어)에서 나왔다고 보는 시각도 있는데, 이는 남사당패의 놀이 가운데 풍물이 가장 간단한 짜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렇게 불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물(四物)은 말 그대로 네 가지 물건이다. 그 네 가지 물건, 즉 기물(器物)은 꽹과리,장구, 북, 징이다.
원래 사물은 불교 용어이다. 불교에서의 사물도 마찬가지로 네 가지 타악기를 말한다. 불교의 사물은 법고(法鼓), 범종(梵鐘), 목어(木魚),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물놀이 이야기, 서울 : 풀빛, 1995
▷ 마당패 뜬쇠 사물놀이, 사물놀이 연수교재, 2003
▷ (사)사물놀이한울림, 사물놀이, 삼호출판사, 1998
▷ 안충환, 영남가락 분석 및 영남가락을 활용한 사물놀이 연주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 이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물놀이, 사물 광대가 연주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짜임으로 되어 있다.
1) 웃다리 풍물굿 가락(중부 풍물놀이 가락)
연주 : 사물놀이 진쇠(김복만, 길기옥, 이윤구, 김경수)
1 내는가락(점고-난타-길가락) 2 자진가락1 3 덩덕궁이1
4 돌림법고-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