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孟德之困於周郞者乎? 方其破荊州, 下江陵, 順流而東也, 千里, 旌旗蔽空, 酒臨江, 橫 賦詩, 固一世之雄也, 而今安在哉? 況吾與子, 漁樵於江渚之上, 侶魚鰕而友 鹿. 駕一葉之扁舟, 擧匏樽以相屬, 寄 於天地, 渺滄海之一粟. 哀吾生之須臾, 羨長江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2.05.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식
직서체直敍體와 문답체問答體
序(동기나 연유)-本文-結語(亂曰, 重曰, 歌曰 등 허두로 전체를 함축요약)
4字句 多用
시와 산문의 특수한 혼합체의 형식
代言體(대화체)적 표현수법은 서사성과 사실주의성을 부각
시경의 4언체에서 5언체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마상여의 「상림부」에는 “교룡적리(蛟龍赤), 옹용건타(龍), 우우허탑()……”이라고 어족의 풍성함을 서술하고 있는데, 이 일단을 보더라도 기문과 괴자의 사용을 즐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 중국문학사, 한대문학
(역사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6.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문으로 발달한 것이 賦이다.
漢代 특유의 문학양식
왕의 권위와 귀족사회의 분위기를 가장 잘 반영한 것으로 꼽히는 운문적 성격이 가미된 산문 문학양식
주제는 의미가 없고 말하는 재미, 듣는 재미로 지어짐
사마상여
-枚乘이 개발한 賦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13.10.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식주의는 산문과 시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육조(六朝)시대의 배부(俳賦), 당(唐)대의 율부(律賦), 송(宋)이후의 문부(文賦)는 <한부>의 수식적 노력의 계속된 발전이며, 육조(六朝)의 변문(騈文)과 당(唐)대의 사륙문(四六文) 같은 산문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