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냉각속도가 늦은 경우에는 핵은 주로 polygonal ferrite에 의해 형성이 되고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Widmanstatten ferrite가 형성이 되며 잔류 austenite는 pearlite로 변태된다. 냉각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polygonal ferrite는 국부평형에서 para 평형으로 천이되며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냉각곡선과 그 합금계의 상평형도를 작성해보는 실험이었다. 열전대를 이용해 시간에 따른 냉각곡선을 구한 후 용융잠열이 발생하는 상변태 구간의 온도를 알아내는 것이 주된 실험과정이었는데 각각의 분율마다 다른 과냉각, Breaking point,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1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냉각곡선
조성
Pb(wt%)
100
90
81.7
70
60
50
38.1
30
26
10
1.5
·
Sn(wt%)
·
10
18.3
30
40
50
61.9
70
74
90
98.5
100
※ 조성별 냉각곡선이며 불연속점(상변태점)과 절점구간 및 각각의 온도를 나타낸다.
Origin을 활용한 Pb-Sn합금 상태도 그리기
※각 절점구간의 온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태도에서 변태점과 냉각 곡선의 변태점을 연결한 그림인데 육안으로 확인하기 편하게 상태도와 냉각 곡선을 수정 하였다.
Sn 10wt%
용액 상태에서 냉각하면서 288˚에서 액상에서 α고용체가 정출되기 시작하다가 282˚에서 다시 상변태를 하여 α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태에 의한 확산 영역의 겹침, 변태된 상 사이의 충돌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요인 중 몇 가지를 살펴보자.
변태온도로 1. 상변태 구간에서 승온시 LVDT가 감소하고 냉각시 LVDT가 증가하는 이유?
2. 1) 냉각시 γ영역 선팽창 계수와 α영역 선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5.1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