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곡고리새여 아아, 왔구나 꾀꼬리새여
므습다 綠事니 어찌하여 녹사님은 1)가시리
2)동동
3)만전춘
4)사모곡
5)상저가
6)서경별곡
7)쌍화점
8)유구곡
9)이상곡
10)정과정
11)정석가
12)정읍사
13)청산별곡
14)처용가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6.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저가\'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앞으로도 관련문헌의 발굴과 세심한 고찰과 검토를 기반으로 하여 꾸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박병채,『새로고친 고려가요의 어석연구』, 국학자료원, 1994.
김정주,『고려가요』,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저가(相杵歌) 1. 고려가요의 개념
2. 전승
3. 특징
4. 속요의 형식적 특성
5. 속요의 내용적 특성
6. 속요의 양면성
7. 민요적 맥락에서 바라본 고려속요
8. 작품강독
1) 사모곡
2) 상저가
3) 동동
4) 쌍화점
5) 만전춘별사
6)
|
- 페이지 9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가요(고려속요)와 동동
六月ㅅ 보로매 아으 별해 룐 빗 다호라
도라보실 니믈 Ⅰ. 고려가요(고려속요)의 어휘
1. 風入盈庭, 壽命長願
2. 回回와 雙花
3. 山象
4. 鄭石
5. 오소?다
6. 므슴다
7. 가고신?, 닛고신뎌, 겨샤?다
8. 단어의 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속요의 단순한 설명보다는 고려속요를 어떤 계열로 분류하여 공통점을 찾고 또 그 안에서 차이점을 인식하여 쓰여졌다면 이해하기 수월했을 것이다.
※ 참고 문헌
임기중 고려가요의 문학 사회학 경운 출판사 1993
이성주 한국 고전문학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