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작품 연구
1. 작품 이해
1) 원문 및 해석
2) 시어 및 시구 풀이
2. 논의의 쟁점
1) ‘대악’ 과의 관련 여부에 관하여
2) 단연체인가? 연장체인가?
3) 주제에 관하여
Ⅲ. 나오는 말
Ⅱ. 작품 연구
1. 작품 이해
1) 원문 및 해석
2) 시어 및 시구 풀이
2. 논의의 쟁점
1) ‘대악’ 과의 관련 여부에 관하여
2) 단연체인가? 연장체인가?
3) 주제에 관하여
Ⅲ. 나오는 말
본문내용
그랬듯이 인간의 먹을 것의 해결문제는 심각하고도 중요한 문제였다. 그런 상황에서 '아버님 어머님을 먼저 배부르게 한 다음 남거든 자기가 먹겠다'라고 노래한 것은 실로 효자의 노래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상저가의 표면적 주제에 감추어진 이면적 주제를 가난과 궁핍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이라고 보는 견해들이 있다. 방아 찧는 작업은 매우 힘드는 노동으로, '히야해'는 단순한 감탄적 율조음이 아니고 힘겨워서 내는 소리라고 보는 것이다. '게우즌' 밥이란, 기름기가 흐르는 하얀 쌀밥이 아니고 거친 보리밥을 말한다. '게우즌 밥'과 '남거시든'에서 방아 찧는 이들의 궁핍한 모습을 읽을 수 있기에 '아버님 어머님힝 받짜고' 하는 효양만을 노래한 것이 아니라, 생활의 고달픔을 한탄도 한 노래라고 보는 견해
) 윤영옥,「한국의 고시가」, 문창사, 2001.
가 그것이다.
Ⅲ. 나오는 말
이상으로 '상저가(相杵歌)'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상저가'는 『시용향악보』외에는, 이 노래의 가사를 전해 주는 다른 문헌이 없기 때문에 '사모곡'처럼 완결된 한 편의 시이기보다는 앞에 그 가사가 반복되어 불렸을지, 아니면 다른 가사가 더 이어졌을지는 알 수 없다.
'상저가'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앞으로도 관련문헌의 발굴과 세심한 고찰과 검토를 기반으로 하여 꾸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박병채,『새로고친 고려가요의 어석연구』, 국학자료원, 1994.
김정주,『고려가요』, 조선대학교 출판부, 2002.
윤영옥,『한국의 고시가』, 문창사, 2001.
최용수,『고려가요연구』, 계명문화사, 1996.
백영 정병욱선생 10주기추모논문집 간행위원회,『한국 고전시가 작품론 1』, 집문당, 1992.
전규태,『고려가요』, 정음사, 1979.
양태순,『고려가요의 음악적 연구』, 이회문화사, 1997.
김무헌,『향가여요교육론』, 집문당, 1997.
박기호,『고려 조선조 시가문학사』, 국학자료원, 2003.
조연숙,『고려속요연구』, 국학자료원, 2004.
조동일,『한국문학통사 2』, 지식산업사, 1983.
김광순 외,『국문학 개론』, 새문사, 2003.
최미정,『고려속요의 전승연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2.
박노준,『고려가요의 연구』, 새문사, 1990.
국어국문학회,『고려가요.악장 연구』, 태학사, 1997.
김태형,정희성,『고전문학의 이해와 감상 1』, 문원각, 2003.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상저가의 표면적 주제에 감추어진 이면적 주제를 가난과 궁핍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이라고 보는 견해들이 있다. 방아 찧는 작업은 매우 힘드는 노동으로, '히야해'는 단순한 감탄적 율조음이 아니고 힘겨워서 내는 소리라고 보는 것이다. '게우즌' 밥이란, 기름기가 흐르는 하얀 쌀밥이 아니고 거친 보리밥을 말한다. '게우즌 밥'과 '남거시든'에서 방아 찧는 이들의 궁핍한 모습을 읽을 수 있기에 '아버님 어머님힝 받짜고' 하는 효양만을 노래한 것이 아니라, 생활의 고달픔을 한탄도 한 노래라고 보는 견해
) 윤영옥,「한국의 고시가」, 문창사, 2001.
가 그것이다.
Ⅲ. 나오는 말
이상으로 '상저가(相杵歌)'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상저가'는 『시용향악보』외에는, 이 노래의 가사를 전해 주는 다른 문헌이 없기 때문에 '사모곡'처럼 완결된 한 편의 시이기보다는 앞에 그 가사가 반복되어 불렸을지, 아니면 다른 가사가 더 이어졌을지는 알 수 없다.
'상저가'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앞으로도 관련문헌의 발굴과 세심한 고찰과 검토를 기반으로 하여 꾸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박병채,『새로고친 고려가요의 어석연구』, 국학자료원, 1994.
김정주,『고려가요』, 조선대학교 출판부, 2002.
윤영옥,『한국의 고시가』, 문창사, 2001.
최용수,『고려가요연구』, 계명문화사, 1996.
백영 정병욱선생 10주기추모논문집 간행위원회,『한국 고전시가 작품론 1』, 집문당, 1992.
전규태,『고려가요』, 정음사, 1979.
양태순,『고려가요의 음악적 연구』, 이회문화사, 1997.
김무헌,『향가여요교육론』, 집문당, 1997.
박기호,『고려 조선조 시가문학사』, 국학자료원, 2003.
조연숙,『고려속요연구』, 국학자료원, 2004.
조동일,『한국문학통사 2』, 지식산업사, 1983.
김광순 외,『국문학 개론』, 새문사, 2003.
최미정,『고려속요의 전승연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2.
박노준,『고려가요의 연구』, 새문사, 1990.
국어국문학회,『고려가요.악장 연구』, 태학사, 1997.
김태형,정희성,『고전문학의 이해와 감상 1』, 문원각,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