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 특징
4. 구석기와 신석기 비교
5. 신석기인의 생활상
6. 한강유역의 신석기 유적지
7. 신석기 시대의 장례문화
8.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부분
9. 움 집
10. 토 기 (빗살무늬 토기)
11. 암사동 선사주거지 의의
12. 출처
|
- 페이지 31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10.10.0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I. 답사개요
1. 답사일시: 2005년 11월 19일 토요일
2. 답사장소: ‘암사동 선사주거지’,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 139번지 2호 외
3. 지정번호: 사적 제 267 호
4. 시 대: 신석기시대
5. 답사장소 개괄
이곳은 빗살무늬토기를 사용하던 신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2.12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선사문화, 국사편찬위원회
◎ 성낙준(1997), 철기시대 무덤, 한국사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국사편찬위원회
◎ 안재호(1989),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성격과 연대, 늑도주거지, 부산대학교 박물관
◎ 최몽룡·이동령·신숙정(1997), 고고학과 자연과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토기로, 크기는 높이 12.4㎝, 지름 16.4㎝이다.
▷ 별첨 2 - 빗살무늬 토기
중부지방 출토. 높이 28.4cm. 서부 지방의 빗살무늬 토기의 모양을 자세히 나타내주는 토기이다.
▷ 별첨 3 - 암사동 출토 토기
서울 암사동 주거지 출토. 높이 36.9cm. 암사동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선사유적의 정비, 복원 1 - 구석기유적의 생태공원화 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박희현(2001) - 구석기시대의 유적 분포로 본 남한강유역의 선사문화, 서울시립대학교
이동영(1995) - 선사유적지층의 형성시기와 고환경해석을 위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