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한다. 《現代中國語學槪論》, 胡裕樹 편, 허성도 역, 교보문고, 1991, p.315~316. Ⅰ 문자학
1. 漢字의 정의와 기원
2. 六書
3. 자체변화
4. 簡體字 원리
Ⅱ 성운학
1. 普通話 정의
2. 漢語拼音,
3. 성조, 변조
4. 어음 변화
5. 감탄사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다.
3. 훈민정음의 창제배경
이처럼 훈민정음의 창제는 음에 대한 분석과 이것의 표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훈민정음은 중국의 한자음에 대한 이론인 성운학을 도입해 이것을 독자적으로 발전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훈민정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9.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운학 이론에 바탕을 둔 것이기는 하나 결과적으로는 상형원리를 바탕으로 새로운 문자 체계를 창조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Ⅲ. 나가며
한글은 자모문자의 원리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자모문자란 음절을 이루는 자음과 모음을 분리하여 각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8.09.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운학을 깨우칠 수 있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훈민정음으로 주음하면 제대로 발음할 수 있어서, 자음을 정확하게 나타내게 되어 지리적 조건으로 음의 차이가 나는 것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
『홍무정운역훈』에 이렇게 힘쓴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운학에서 중국어의 주음 방법으로 동일한 어두자음군을 가진 글자들 중에서 한 글자를 골라 대표로 삼고, 음절을 이분하는 즉, 반절법으로 자음의 통일을 위하여 엮은 사전을 말한다. 즉 한자의 성류가 훈민정음의 초성 글자와 같으므로 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