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미인곡> 비교분석
1. <송강가사> 판본
정철의 가사를 전하는 목판본으로는 <이선본(李選本)>, <성주본(星州本)>, <관서본(關西本)>이 현전한다. 이 중 <이선본>은 ‘이선’이라는 사람의 발문이 수록된 <송강가사&g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0원
- 등록일 2012.1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주본)에서 단가“南山뫼 어디뫼만 고학사 초당 지어 곳두고 달두고 바회두고 물둔난이 술조차 둔난양하아야 나를 오라 하거니 Ⅰ.들어가기
1. 시조의 명칭
2. 시조의 기원
3. 시조의 발생시기
4. 시조의 형식상 분류
5. 구성요소로서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10.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주본의 어떤 어구가 의성·관서 양본에는 생락된 경우, 즉 의성·관서본에 없는 어구가 성주본에는 삽입된 경우가 있고, 반대로 의성·관서 양본의 어떤 어구가 성주본에는 생략된 경우, 즉 성주본에 없는 어구가 의성·관서본에는 삽입된 경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본(이선본)은 서울대 규장각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확인해 본 결과 규장각 도서관에 소장되어있지 않았다. 그래서 김문기는 이 本을 방종현 소장본이라 하였다.
18세기
관북본
정호
1704
함경도 함흥
미상
×
성주본
정관하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주본 19, 이선본 20>
세상 사람들이 모두 잠에 자고 있을 새벽, 들려오는 북소리에 성안의 임금을 생각하는 것은 송강의 마음속에 임금의 자리가 얼마나 차지하는지를 짐작하게 한다.
이 몸 허러 내여 낸믈의 띄오고져
이 믈이 우러 녜여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5.08.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