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은 악기만 잘 다루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이치에도 능통해야 조화롭게 악을 정비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박연을 등용하여 예악의 정비를 실현한다.
4. 세종은 인재들을 어떻게 길렀는가?
세종의 인재양성 텃밭은 바로 집현재였다. 집현재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6.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악기도 수입하였다.
■ 세종. 세조 때의 음악
박연에 의하여 아악이 맹사성에 의하여 향악이 정리 되었다. 악기 도감을 설치하여 악기를 개조하거나 새로 만들었으며, 편경, 편종을 우리 나라 사람들의 손으로 직접 만들었다. 또한 정간보,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종과 박연은 비록 본격적으로 ‘신유학적’이 되고자 시도하지는 않았지만 중국 송대(960~1279)의 음악과 이론에 특히 의존하였다.
1423년에서 1430년 사이에 세종의 감독하에 박연은 아악에 사용하기 위하여 수백 가지 악기의 제작을 준비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악기이다. 삭고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삭고 보다 약간 작고 틀 위에는 달 모양을 그리고 붉은 칠을 하였다. 응고도 조호와 연향 때에 주악에 쓰였다. 응고는 고려 때부터 쓰였으며 세종 때 많이 제작하여 사용하여 오다가 현재에는 쓰이지 않고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읽는 세종대왕실록』, 웅진 지식하우스, 2008
박영규 지음,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웅진 지식하우스, 2004
문정민 지음, 『아이세움 역사 인물 세종』, 아이세움, 200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엮음, 『세종시대의 문화』, 태학사, 2002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