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년 1월 1일 당시 사기업 노동자는 68,822명(공기업 노동자 251,766명)으로 전체 노동자(320,588명)의 약 1/4을 차지할 정도였다.
특히 소련군 보고서들은 중간 부르조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1947년 1월 제25군 정치부장 그로모프의 보고서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10.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당시 북조선 입장에서 소련군의 이러한 행태에 대해 지적할 수는 없다고 하지만 분명 이러한 부분에 비공식적으로라도 소련군 또는 소련 정부에 문제 해결 요청을 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데 어떤 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련군의 북한 진주와 대북한정책 전 현 수
http://www.independence.or.kr/NEW/media_data/thesis/1995/199515.html
http://www.kdatabase.com/SchRstBook.aspx?schKeyword=397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북한과 소련의 경제 협력 성원용(연세대동서문화 연구원)
해방 전후사 사료 연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입장에서 보면 박정희는 상당한 권력을 가진 적국의 장교라는 점이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IV. 결론
이들은 예술, 정치, 군사 등 각자 다른 분야에 있었지만 친일 행위를 했음은 사료들이 증명하고 있다. 이들의 후손들이 이의를 제기하고 있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8.07.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입장, 한국역사연구회
- 남원진(2011), 해방기 소련에 대한 허구, 사실 그리고 역사화, 한국현대문학회
- 양현수(2008), 해방직후 북한지역 소련군정의 성격분석, 자유민주연구학회
- 이재훈(2005), 해방 직후 북한 민족주의세력에 대한 소련의 인식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4.07.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