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간에 속해 있고, 백운산은 호남정맥에 있는 산이다. 그러니 거리는 지척이라도 호남정맥을 빙 돌지 않으면 가 닿을 수 가 없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가 닿을 수는 있는데 소백산맥을 타고서는 안 된다. 산경도를 보면 이 사실이 명확해진다.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5.03.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간의 정의
Ⅲ. 백두대간의 등장
Ⅳ. 백두대간의 코스
1. 백두산
2. 두류산(頭流山)
3. 금강산(金剛山)
4. 설악산(雪嶽山)
5. 오대산(五臺山)
6. 태백산(太白山)
7. 소백산(小白山)
8. 속리산(俗離山)
9. 덕유산(德裕山)
10. 지리산(智異山)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백, 노령 등의 산줄기 분류법이 자리잡게 되었다.
그러면 무엇이 문제인가?
본래 우리민족이 우리의 땅을 인식하는 기본개념은 \"산은 물을 가르고 물은 산을 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백두대간(白頭大幹)이라는 현대에 우리 것만 좋아하는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간은 달리고 싶다
1. 백두대간의 이해
가. 백두대간이란
나. 유래
다. 백두대간식 표기
라. 배두대간 흐름도
2. 전통적인 산맥개념과 현대의 산맥개념
3. 우리나라 자연 생태계의 보고 백두대간
가. 민족의 자랑스런 유산과 빼앗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간과 이 말을 쓰게 된 意識上의 배경을 소개한 바 있다. 권혁재의 경우, 최근의 [한국지리(총론)] 제 2판과 同書지방편(둘다 1996)에서 \'이른바 백두대간\'이라는 표현방식을 동원하여 이 대간과 태백산맥-소백산맥의 관계를 약간씩 소개하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