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흙을 떼어내어 함수비 측정
2-3-2. 소성 한계 실험 방법
① 소성한계 시험용 유리판에 올려 놓고 손바닥으로 시료를 굴려서 시료를 국 수모양으로 만든다.
② 국수모양의 직경이 약 3mm 정도에서 부슬부슬해진 토막들을 모아서 함수 비를 2개 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번거로우므로 미리 3mm봉을 구해놓고 비교하면서 만든다. 시료가 3mm되기 전에 부스러지면 함수비가 소성한계보다 작은 상태이므로 물을 추가하여 함수비를 증가시켜 재시험한다. 흙의 반죽이 너무 유연하면 공기 건조시킨 후에 다시 잘 반죽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9.0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계)에 도달되면 부스러진다. 이때의 함수비를 측정하면 곧 소성한계가 된다. 그러나 직경 3mm를 정확히 유지하기 어렵고 손바닥에 힘이 가해져서 시험장비가 개발되어서 사용되고 있다. 소성한계는 소성도를 이용한 세립토의 분류와 흙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04.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성 지수값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질 성분이 많을수록 사질토는 액성 한계와 소성 지수가 작다. 사질토는 액성 한계 와 소성수를 결정하는 시험이 불가능하여 N.P(Non plasticity)로 표시한다.
㈏ 액성 한계와 소성 한계의 수치는 통상적으로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1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성한계시험
관측자의 개인적 성향에 따른 오차
- 소성한계는 흙을 밀어 3mm의 국수모양으로 만들 때 금이 가기 시작했을 경우이다. 그러나 정확히 3mm의 두께로 밀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흙의 지름의 차이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였을 것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8.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