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영사, 1993
변태섭, 『한국사통론』, 삼영사. 2004 Ⅰ.머리말
Ⅱ.북송을 둘러싼 국제관계
1.遼와의 관계
2.서하와의 관계
3.고려와의 관계
4.金과의 관계
Ⅲ.남송의 대외관계
1.金과의 관계
2.몽골제국의 출현
Ⅳ.맺음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송이 건국됨으로써 고려-금-남송 사이에 평화가 유지되었다.
10~12세기에는 고려뿐 아니라 베트남, 대하 등 중국 주변의 국가들이 책봉을 받는 동시에 황제를 칭했는데, 이는 당시의 다원적 국제질서와 관련이 있는 것이다.
⑸ 고려 후기 역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4.04.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제질서는 크게 변화한다. 3강 체제로 바뀐 국제질서는 쉽게 균형이 깨지면서 먼저 북방의 돌궐이 수, 당의 중화문명권에 굴복하고 만다. 이어서 70년간의 대결 끝에 동방의 고구려마저 중화문명권의 당나라에게 멸망당한다. 이로써 오직 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9.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제질서에 편입되었다. 비록 중국 왕조로부터 책봉을 받았지만, 고려는 황제국의 체제를 갖추고 있었다. 국왕을 황제 또는 천자라고 했으며, 국왕을 부를 때는 폐하(陛下)라고 하였다. 또한 왕실의 용어와 격식도 황제국의 격식에 맞추었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4.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제질서를 탈피하고 한민족(韓民族) 중심의 자각을 드러낸 경우, 둘째 그러한 민족의 자각이 단지 민족감정으로 끝나지 않고 역사·지리·언어·군사 등에 걸쳐 민족에 초점을 둔 지식체계의 형성으로 나타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1. 삼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