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상조에서 미세기포가 응집된 총인 플록에 부착되어 부상분리, 제거하게 된다.
부유된 플록(부상슬러지)중 일부를 응집혼화조로 순환하여 총인의 제거 효율을 증대시킨다.
2) 공정원리 및 구성
가) LAF(저압부유부상장치)
특허 및 신기술인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0.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슬러지를 첫 번째 소화조로 반송시킴에 의해 악취를 방지할 수 있다.
(3) 부상슬러지
부상슬러지는 상징액을 제거하는 동안 폭기가 중단될 때, 두 번째, 세 번째 소화조에서 매우 두껍게 퇴적하게 되는데, 폐쇄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징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슬러지에 함유된 질산성 질소는 탈인조에서 탈질화되어 탈인조에서는 슬러지부상현상이 일어나며 또한 탈인에 소모될 유기물질이 탈질에 소요되므로 탈인조의 운전체류시간이 길어지거나 인방출이 잘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 ph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것으로서 공기방울의 크
기를 결정하고 고형물의 농도를 좌우하며, 결과적으로 유출수질에 큰 영향을 미
친다. 또한 공기/고형물비는 슬러지 부상률에 영향을 끼치는데 일반적으로 0.02~
0.04정도를 가리킨다. 이 이상일 경우에는 부상조의 성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슬러지의 중량제로서 소화 슬러지, 규조토, 탄산칼슘을 포기조에 투입하여 슬러지의 중량화
- 포기조의 공기량을 증가시켜 DO를 상승시킨다.
4. 부상현상
- 활성슬러지의 부상현상은 침전조의 구조, 반송슬러지 공급방식, 잉여슬러지의 일발방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3.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