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 충족
님 향한 / 일편단심이야 / 가실 줄이 / 있으랴 3·6·4·3 불충족
<하여가>
이런 / 엇더리 / 뎌러들 / 엇더하리 3·4·4·4 충족
만수산 / 드렁 1. 서론
2. 율격의 종류
3. 한국 시가의 운율 연구
4. 음보율을 통한 문제 해결 모색
5. 결론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가요의 어떤 특수부분을 지칭하는 것이 아님이 확실하다. 오히려 여음의 사전적 뜻인 “소리가 그친 뒤 여파로 남아있는 음향”과 오히려 유사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덩더둥셩’과 같은 어구를 지칭하는 지금의 소위 여음은 위와 같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가의 형식에 관한 연구는 1920년대 후반 이래 최근까지 많은 성과를 축적해 왔지만, 그 주요 성과의 대부분은 한국시가의 리듬 형성자질 모색과 율격 현상들의 유형별 분류 등에 집중되었다. 시행 및 시편의 구성에 대한 연구는 본격화되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율격에 맞도록 덧붙인 것으로 파악한다. 둘 이상의 절(節)로 이루어진 시나 가사에서 반복되어 나타나는 각 절의 마지막 부분, 시가(詩歌)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되풀이되어 나타나는 음성이나 말로서 생략되어도 시상(詩想)은 성립될 수 있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여음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2.
정경의, 「고려속가의 여음연구」, 부산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목차
◎ 서론
◎ 본론
1. 여음의 정의
2. 여음의 종류
3. 여음의 특징
4. 여음의 기능
◎ 결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