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운동을 통해 처음부터 강구해가야 한다. 즉, 생태문화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필요한 토지소유관계, 조성방식, 관리방식 등을 규정하는 \'용산생태문화공원 조성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정운동이 시민운동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여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07.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민공원 기본현황
●위치ㆍ면적
-부산진구 범전ㆍ연지동 일원 543,360㎡(약 16만여평)
●부지 연혁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에는 경마장으로 사용(1930~ )
제2차 세계대전 기간에는 일본군대의 훈련장과 야영지로 사용
-1945년 해방이후
1945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5.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학교 2개교 입지 시민공원이 비정형으로 입지
3. 개발의 방향
1) 주변지역 개발 개요
주변지역 개발 배경
캠프 하야리아 반환공여구역의 전면 시민 공원화, 군부대 주변지역의 활발한 사업 추진, 시민공원과 주변지역이 연계ㆍ조화되는 정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원, 공공공지)
2005. 5 : 시민공원 조성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 착수
2005. 12 : 하야리아부지 주변 건축허가제한 행정예고 (2005.12.31~2007.12.31(2년간))
2006. 3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등 지원특별법」공포
2006. 5 : 통합영향평가 용역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1.2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민공원은 친환경, 지속가능한 공간의 사례로 적합하다. 앞서 보여준 설명과 같이 부산 온천천 시민공원은 1995년부터 시작된 온천천 살리기 사업을 통해 오염된 자연이 복구된 사례이다.
필자는 초등학교 이전부터 온천천 시민공원을 보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08.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