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조집의 편찬들을 들 수 있다. 이 시기의 산문화 경향은 시조 향유층을 서민층까지 확대하는데 기여하였으나 시조문학이 쇠퇴하는 데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본다. 따라서 18세기 이후 시조 문학이 쇠퇴하면서 작가층의 중심이 전문가객으로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시조 개관
Ⅱ 명칭과 형식
Ⅲ 발생과 형성
Ⅳ 내용과 작가
Ⅴ 전문가객의 출현과 시조집편찬
Ⅵ 종류
Ⅶ 모체
Ⅷ 생성기
Ⅸ 시조의 변화와 발전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개요
Ⅱ. 시조와 시조작가
Ⅲ. 시조와 시조집
1. 시조집 편찬
2. 3대 시조집
1) <청구영언>(1728, 영조 4년)
2) <해동가요>(1763, 영조 39년)
3) <가곡원류>(1763, 영조 39년)
3. 기타 가집
1) <고금가곡>
2) <동가선>
3) <남흥태평가> 등
4) <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들어가며
2. 가객의 출현
3. 청구영언(靑丘永言) ― 남파(南派) 김천택 시조집
4. 해동가요(海東歌謠) ― 노가재(老歌齋) 김수장의 시조집
5. 가곡원류(歌曲源流) ― 박효관·안민영의 시조집
6. 그 밖의 시조집
7. 정리하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편찬의 의의와 자료적 가치」, 『시학과 언어학』 5, 시학과 언어학회, 2003.
김학성, 「조선후기 시조집의 편찬과 국문시가의 동향」, 『동양학』 23,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93.
문주석, 「김천택의 음악관 연구」, 『민족문화논총』 제38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