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조 송인 작품분석
宇歇長堤草色多 비 갠 강둑에는 풀잎이 이들이들
送君南浦動悲歌 남포에 임 보네니 슬픈 노래 북 받치네
大同江水何時盡 어느 제 마르오리 대동강 푸른 물
別淚年年添綠波 해마다 이별 눈물 푸른 물결에 더하네
1. 작품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시대 시조 배열부전, 고려시대 시조 하여가, 고려시대 시조 송인, 조선시대 시조 매화사, 오우가, 조선시대 시조 전언은희지이라, 어부가,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부운거사, 조선시대 시조 고산구곡가, 내 언제 무신하여 작품분석
Ⅰ.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송인에 나타난 \'물\'의 이미지 연계 작품 분석
공무도하가 → 서경별곡 → 송인(送人)
◈이별 정한의 맥
·\'황조가\' →\'서경별곡\',\'가시리\' → \'송인\' →황진이의 시조 →민요의 \'아리랑\' →김소월의 \'진달래 꽃\'
·\'황조가\' 의 정한 :\'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3
(1) 후인의 평가
(2) 정지상과 김부식
1) 차운의 예
2) 이수복의 ‘봄비’와 ‘송인’
Ⅲ. 결론 ‥‥‥‥‥‥‥‥‥‥‥‥‥‥‥‥‥‥‥‥‥‥ 20
*참고문헌‥‥‥‥‥‥‥‥‥‥‥‥‥‥‥‥‥‥‥‥‥‥ 22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10.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송인>
조선
황진이 시조, 민요 <아리랑>
현대
김소월 <진달래꽃> ‘가시리’처럼 다시 돌아와 달라는 원망을 토로하지 않고 감정의 절제 및 자기희생적 자세를 역설적으로 보인다.
●정읍사
갈래
백제 가요
출전
가사는 <악학궤범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5.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