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물의 표피 위나 식물체내에 존재한다.
1) 진균, 세균에 의한 병
진균을 병원균과 부생균으로 구별하는 것은 병환부에서 얻은 균사, 포자, 자실체의 형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진균분류, 식물병학에 관한 책을 참조하여 동정한다. 대부분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4.06.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물의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형무 외(2008). 신제 식물병리학. 향문사.
강병화(2012). 식물학ㆍ재배학 동양의학ㆍ식품학 용어해설. 한국학술정보
최현정, 이지은, 김성환 (2023). \"고추역병균에 대한 식물 면역 반응 및 유전자 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4.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물에 분무접종한 후 관찰한다. 식물의학 05_강의록. 최재을 명예교수
바이러스의 경우 병반의 경계부분을 절취한 뒤 완충액과 함께 마쇄한다. 건전한 식물에 카보랜담을 얇게 뿌리고 마쇄 용액을 면봉으로 도말하면 병반이 나타나게 된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3.09.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학, 홍, 2001.
황병국 외, 식물병원 바이러스. 식물의학, 2000.
한국 식물병리학회, 한국식물병명목록, 2004.
박규택, 자원곤충학, 아카데미서적, 2001.
대한미생물학회, 의학미생물학. 7판, 엘스비어코리아, 2014.
박창규 외, 농약의 생화학과 사용법,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6.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물병을 진단하는 데에는 경험이 필요하다. 또한, 일부 질병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또는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에 의해 유발된다. 이 경우, 전문가가 샘플을 취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좋다.
[참고문헌]
식물의학 / 최재을 외 / 한국방송통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3.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