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쪽 방향으로 흐르지만, 세포체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는 소멸되고 신경말단 부위로만 흥분이 전도된다.
유수신경의 수초는 지방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 저항이 대단히 커서 축삭돌기에서 탈분극의 이동은 랑비에 결절에서만 일어난다. 그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7.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위를 유지시키게 된다.
신경의 충격 전도 과정을 살펴보면, 활동전위가 발생 전 부위의 막전위가 세포안쪽 -70mV에서 30mV로 역전되어 이웃부위로 전류가 국소적으로 흐름 → 이웃부위 → 역치 → 탈분극 → 막투과성 변화 → 새로운 활동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0.1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경 밖에서 뉴런을 1번 교체한 후에 말초에 이르며 교하기전중추부분를 절전섬유라 하고 교체한루 말초 부분의 신경섬유를 절후섬유라하며 교체부분 즉 절후 섬유의 세포체가 모인 곳을 신경절이라한다.
자율신경이 흥분하면 그들의 절전
인체 근육, 신체 허파, [인체(신체), 근육, 허파, 뼈, 호르몬]인체(신체)의 구성, 인체(신체)의 근육, 인체(신체)의 허파, 인체(신체,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분극이라 한다.
2) 초과전위(막역전전위) - 전극에 흥분이 전도되어 (+) 전위가 얻어진 것을 말하며 전위는 +30mV 이다. 이 상태를 탈분극이라 하고, 다시 정지전위로 돌아가는 상태를 재분극이라 한다.
3) 활동전위 - 흥분에 의한 전위의 변동(탈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2.05.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활동전위가 일어나는 일은 없다.
이 기간을 절대불응기라고 하며 이에 이어 불응기, 즉 역치자극에서는 활동전위를 발생하지 않으며 역치상자극을 가하면 활동전위가 발생하는 시기를 상대불응기라고 한다. 1. 흥분전도
2. 자극의 강도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원
- 등록일 2007.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