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기의 연구, 백산학보 20, 백산학회, 1976
김원용, 신라-토기, 한국사론 15, 국사편찬위원회, 1985
김종수, 뿌리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5, 솔, 2007
안승주, 백제토기도록,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84
오규원·임우기저, 예술의 이해, 서울예대출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라토기는 자취를 감추고 이후부터는 단각고배와 인화문을 주축으로 하는 통일신라시대 토기로 전환된다.
◆ 한국의 토기 문화
7. 신라토기의 종류
1) 신라 4세기
바리, 경주 월성로, 높이 7.8cm 굽다리접시 경주 월성로 높이 23.2cm
굽항아리 경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1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토기는 고구려와 중국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고, 후에 신라·가야와의 상호교류를 통하여 다양한 기종의 토기를 발전시켰다. 그러면서도 초기의 영향을 받았던 고구려의 특성을 잃어버리지 않고 신라·가야토기와는 다르게 극도로 문양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0.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토기와 고대 일본계 토기, 그리고 5세기 후반대의 창녕의 비화 가야계 토기가나와 당시 부산 지역과 이들 지역간의 교류가 있었음을 말해준다. 5세기 전반대 이 후의 부산 고유의 지역 토기와 신라 토기의 혼재, 시기다 지날수록 신라토기의양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6.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라와 가야의 기마인물상에 대한 특징을 살피고 비교해 봄으로써 그 속에 담긴 상징적 의식 구조를 이해하고 조형적 미감을 발견하고자 한다.
가야 기마인물형 토기
김해시 대동면 덕산리 출토
나팔모양의 대각위에 방형판을 설치 그 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8.04.0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