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행하고 있으므로 간에서 신경의 역할이 꼭 필수적이지는 않다고 볼 수 있다. 1) 간의 육안적 구조 및 구분
2) 간의 혈관 분포
3) 간의 기능적 구분
4) 간의 미세구조
5) 간세포판(liver cell plate)
6) 간의 소엽
7) 간의 세포외 공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능력(phagocytosis)을 한다. 사용된 적혈구나 혈액의 잔해를 제거
monocyte - macrophage defense system에 속한다.
4. 간세포 주위공간(space of Disse ; perisinusoidal space)
간세포와 간동굴모세혈관(hepatic sinusoid)사이
지방보유세포(hepatic stellate cell; Ito\'s cells ; lipoc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질세포로 침입하여 감염 후 6-12일 동안 적혈구외 무성생식을(exoerythrocytic schizogony) 하게된다. 손상된 간에서는 순환 RBC에 침입하는 merozoite가 성장하게 되고, 적혈구기의 무성생식이 시작된다. RBC내에서 merozoite는 헤모글로빈등 세포내 성분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7.05.08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질 조직이나 장기의 용적이 장애로 인하여 작아지는 것
단순위축-장기의 중요한 구성성분인 실질세포가 각각 축소되기 때문에 장기 전체가 위축
수적위축-실질세포의 수가 감소한 결과 장기가 위축
*종류 disuse atrophy →일정기간 사용하지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3,860원
- 등록일 2012.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질세포로 대치되는 현상
-손상받은 흔적을 남기지 않고 장기의 기능도 그대로 발휘된다.
-세포들은 재생능력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1)불안정세포(labile cells)
-일생동안 계속 증식하는 세포
-신체의 모든 표면 상피세포, 비장, 림프성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