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철 상수 k값을 달리하여 실험하고 설명하시오.
→용수철 상수가 커질수록 진폭은 줄어들고 진동수는 커진다.
b. 감쇠운동
과도감쇠인 경우 , i.e. 이 경우의 일반해
는 , 이다.
임계감쇠 , i.e. 이 경우의 일반해는
이다.
비과도감쇠 , i.e.
여기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9.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수는 0.7과 흡사하게 나온다.
3. 결론 및 검토
이번 실험은 저번에 직접 실험했던 단조화운동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이고 오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실험이었다.
비감쇠진동, 감쇠진동, 강제진동 3가지 운동에 대하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쇠운동 첫 번째 실험의 결과는 외력이 작은 이유인지는 몰라도 결과 값의 그래프가 비감쇠운동과 비슷하게 나왔다. 나머지 감쇠상수가 2와 3일 때도 비슷한 결과의 그래프가 나왔다. 그 그래프를 이 보고서에 보여줄 수 없는 것이 아쉬울 따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8,400원
- 등록일 2013.10.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에서 오차 요인으로 작용될 것이다. 따라서 베어링의 손상요인이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우리는 실험에서 원형 추를 사용하여 각각의 위치에 따른 고유진동수를 측정하였다. 추가 움직임에 따라 봉이 위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6.08.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횟수
공의 질량 (kg)
탄동진자 질량 (kg)
진자가 올라간 높이 (m)
초기속도 (m/s)
백분율 차이
%손실=
1
0.067
0.251
0.009
1.961
78.89%
2
0.067
0.251
0.008
1.837
79.15%
3
0.067
0.251
0.008
1.837
79.15%
4
0.067
0.251
0.008
1.838
79.14%
5
0.067
0.251
0.007
1.775
79.26%
평균
0.067
0.251
0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9.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