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비달마구사론본송 연구』(경도;永田文昌堂, 1973-1974)가 출판되었으며, 평천창(平川彰)의 주도하에 범본 티벳 역 한역의 색인대조 작업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 참고문헌 1. 아비달마 논서와 『구사론』
2. 『구사론』의 작자와 제작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재의 형태 (8) 존재의 요소 등의 의미로 다르마라는 말이 쓰여지고 있다. 한역 불전에서는 이 모든 의미가 법이라는 하나의 역어 속에 포함되어 있다. 아비달마 논서에는 다르마라는 어휘를 위의 (6),(7),(8) 중의 어느 하나로 사용하고 있다. 경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논서가 성립하였다. 이를 아비달마(阿毘達磨)라고 부르며, 논장(論藏)으로 총칭한다. 경 ·율 ·논의 3장은 각 부파에 의해 정비되었지만, 현재 전하는 것은 주로 스리랑카상좌부의 3장과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에 속하는 논장에 지나지 않는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