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그리고 EU와 NAFTA 간의 자유무역지대 발족이 논의 중이 범대서양자유무역지대(TAFTA) 등이 있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동아시아 전체를 대변하는 지역기구는 부재한 상태이다. ASEAN은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지역기구이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안보의 진전, 대한정치학회
배긍찬(2006), 제1차 동아시아 정상회의 결과분석 : ASEAN+3 정상회의와의 관계설정을 중심으로, 한국외교협회
이원우(2009),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의 제도적 한계와 구조적 제약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임채홍(2010),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안보문제에 대해 협의하고 있다. 한국은 1991년부터 미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카나다, EU, 인도, 중국, 러시아 등과 함께 대화상대국 10개국에 속한다. 창설 30주년을 맡는 1997년부터는 아세안+한중일 정상회의를 실시하여 동아시아 지역 협력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시아 측 지역조정국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1. FEALAC 웹 사이트 http://fealac.mofat.go.kr/
2. 외교통상부 http://www.mofat.go.kr 【 아세안 지역안보 포럼 - ASEAN Regional Forum】
【 아시아유럽 정상회의 - Asia Europe Meeting】
【동아시아-라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안보체제 구축을 위한 노력
1. 아세안지역포럼(ARF)
2. 아시아 유럽정상회의(ASEM: Asia Europe Meeting)
3. 비정부차원에서의 노력
Ⅳ.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의 현황
Ⅴ.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에 대한 주요국가의 입장
1. 미국
2. 일본
3. 중국
4.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9.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