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수비는 33.4%, 36.3%, 39%, 40%의 값이 나왔다. 소성한계 값은 유리판에 놓고 손으로 비벼 3mm 직경이 되었을 때 흙이 부서지기 시작할 때의 함수비로 데이터 3개 값은 19.4%, 20.5%, 22.2%의 값이 나왔다. 흙마다 아터버그 한계가 다르다. 채취한 흙의 함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943에는 노건조시킨 흙을 왁스가 녹은 통에 넣어서 코팅을 한 후 식게 되면 물에 넣어 부피를 측정한다. 그림 3에 의거하여 수축한계를 계산 할 수 있다.
SL =
→ = 수축접시에 흙을 채웠을 때의 초기함수비
→ △ = 변화된 함수비(초기함수비 -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0.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함수비 w 인 점성토지반의 소성성은 소성지수만으로 IP 만으로는 표현하기 부족하므로 컨시트턴시 지수 IC 를 사용한다. 일번적으로 컨시트턴시 지수는 흙의 강함과 약함을 나타내는 지수로 사용 된다. 이 지수를 얻기 위해서는 자연상태의 함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7.01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터버그의 한계
◎ 액성한계
◎ 소성한계
◎ 수축한계
◎소성지수 (PI, plasticity index) = LL - PL
◎수축지수 (SI, Shrinkage index) = PL - SL
◎액성지수 (LI, liquidity index) = , ( ω는 자연 상태의 함수비 )
◎표준입관시험(SPT standard penetration test)
◎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함수비라고 정의되어 있다. 즉, 점성토를 반죽하여 수축접시에 담아 초기 및 건조 후의 함수비와 부피를 재서 반고체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변하는 경계의 함수비를 구하는 것이 수축 한계 실험이다.
수축한계 실험 방법은 다음의 절차를 따른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