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례악에 쓰인 여러악기가 전시되었었는데 지금은 개방하지 않고 있다. 1 종묘란?
2 어숙실이란?
3 제정이란?
4 전사청이란?
5 공신당이란?
6 정전이란?
7 영녕전이란?
8 악공청이란?
9 종묘 제례악이란?
10 종묘 제례란?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3.0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
⑤ 어숙실
⑥ 공신당
⑦ 칠사당
⑧ 정전
⑨ 정전수복방
⑩ 전사청
⑪ 제정
⑫ 영녕전
⑬ 정전 악공청
⑭ 영녕전 악공청
⑮ 창경궁 연결문
① 외대문 (정문) - ☆☆☆
종묘는 왕의 신주를 모시는 곳으로서, 임진왜란시 모두 불에 타 없어졌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한 일을 하던 사람들이 거처하는 곳으로 매우 소박하게 보이는 건물이다.
1칸은 문을 내어 정전의 안팎으로 쉽게 드나들 수 있게 하였다.
<악공청>
종묘제례 때 음악을 연주하는 악공들이 연습하고 악기를 준비하며 대기하던 곳이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악공청
종묘제례시에 주악하는 악사들이 대기도 하고 연습하기도 하는 건물이다. 정면 6간, 측면 2간의 맞배집으로 소박하고 간결한 건축양식을 나타내고 있다.
Topic...
왕의 이름은 함부로 쓰지 못해!
사람은 누구나 이름이 있게 마련이지요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악공청
종묘 제례시에 주악하는 악사들이 대기도 하고 연습하기도 하는 건물이다. 정면 6간, 측면 2간의 맞배집으로 소박하고 간결한 건축양식을 나타내고 있다. 이 건물도 안내 책자에 없었더라면 도저히 창고 외에 다른 용도로 쓸 거라고는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0.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